수산 1번지의 명성을 되찾자
수산 1번지의 명성을 되찾자
  • 윤문칠
  • 승인 2021.01.05 13: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수시는 전국 최초로 주민발의를 통해 3여 통합으로 35만의 전남 제일의 도시로 우뚝 섰다. 최초 수산교육기관이었던 여수대학교가 있어 수산 경제의 주축 역할을 했었고, 수산 1번지로 유명했다. 하지만 국립여수대학교가 지도자의 오판과 농단으로 전남대학교에 흡수되며 지역 대학교가 없는 도시로 변하면서 많은 학과가 축소되어 인구감소의 희생 도시로 변화했다. 관공서에도 여수수산 출신 인재 공무원이 많았었지만 요즘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우리 지역 수산업이 침체되어가면서 여수가 수산업의 1번지였다는 말은 듣기 힘들고, 관심 밖으로 사라지고 있어 안타깝다.

전남도의 해양수산 본원과 해양수산과학원, 해양수산 기술원 그리고 수산 마이스터고가 완도군으로 이전되었다. 그리고 목포서남권 북항을 수산업 중심, 수산 식품 제1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수산종합지원 단지를 올해 준공한다. 또한 대양산단에 수산물 식품 수출 단지가 5층 규모로 1,089억 원을 투입해 2022년까지 조성 예정돼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라남도 최초 HACCP 시설을 갖춘 연육 생산 스마트 공장과 100억 원을 투입해 특화 어묵 개발 등 수산업 발전에 활기를 띠고 있다. 그런데 우리지역의 수산행정은 침체되어 있어 안타깝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국토는 세계 육지 면적의 0.07%밖에 되지 않지만 해양 면적이 국토의 4~5배에 달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해양국가다.

그중 전남은 2면과 16개 시, 군이 바다를 끼고 전국의 65%를 차지하는 2,219개의 유, 무인 섬과 42%의 갯벌을 보유하고 있는 가장 풍부한 해양자원이 보고이자 어업인의 삶의 터전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의 정부(2001) 시절 중 어업협정에 의해 어선은 신고 없이 우리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자유롭게 조업할 수이도록 협정을 맺어 올해 중국 대형 어선(180t) 1500척을 우리 수역에서 어업 활동을 하도록 허가하였다. 그리고 근 70년 이상 지속된 어촌의 영세어업 형태를 정부에서 발전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키거나 근절하지 못하고 입법적으로 국회(2004)를 통해 소형기선저인망 어선 특별정리해고 법안을 발효하여, 가짜 뉴스에 의해 아무런 이유 없이 영세어민들이 운영하는 소형 선박을 전남에서 6천여 척이나 감척시키고 또 계속 감척하고 있다.

여수시는 수산업이 활성화되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요즘 어선 규제 후, 과연 바다의 생태계는 더 좋아졌을까? 한때 초도는 학생이 533명이 살았던 어선의 전진기지였지만 현재는 학생이 한 명도 없는 섬이 되면서 폐교가 되었다. 무릇 농촌의 논밭도 1년을 묵혀두면 잡초가 무성하고 단단하게 굳어지는 것처럼, 소형선박 감척 후 15년이 지난 지금 연안지역에서 바다 밑을 훑지 못하게 된 사이 현재의 바다 밑은 단단하게 굳어져 있고, 갯벌은 침전물의 퇴적으로 이미 심한 악취를 풍기며 생태계를 변화시켜 처참하게 황폐화 되어가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도의원(2016) 시절 도정질의에서 우리나라는 수산전문분야의 국회의원 한 명도 없다면서 중국 어선들은 고기를 포획하라고 묵인하고 우리 어선들은 고기를 잡지 못하게 묶어두는 행정은 영세어민을 죽이는 적폐라 생각되고 걱정이 되어 수산업법을 수정 발의하여 20톤 미만의 소형어선을 다시 활성화시켜 황폐화 되어가는 바다 생태계를 살리고 청년이 다시 돌아오는 어촌을 만들어야 한다고 정부에 건의하였다.

수산업의 체계적 육성은 우리 지역 경제의 발전과 관광산업 발전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지역의 풍부한 수산물과 우리 지역의 해양관광은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함께 추진될 수 있다. 여수는 깨끗한 바다 환경과 연안지역의 수산업이 다시 활성화되어 경제가 신성장하고 어항의 정주환경이 개선되어 우리 지역이 수산 1번지의 명성을 되찾길 관심을 갖어야 할 것이다.

20211

) 전라남도 민선 교육의원 윤문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